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골이 안하는 방법 5가지 정리

by 세모브소 2023. 9. 11.
반응형
반응형

코골이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고민을 합니다. 고민이 심한 사람 경우 수술까지 생각할 정도로 우리 일상에 많은 피해를 끼치는 증상입니다. 혼자 사는 사람들은 괜찮겠지만 룸메이트가 있다던가, 군인 분들 특히 부부 중에는 코골이 때문에 각방까지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오늘은 코골이 예방하는 방법 10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코골이
코골이로 인한 스트레스

코골이 원인, 수면 무호흡증

우선 코골이 예방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왜 코골이를 하는지 원인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잠에 들면 근육과 신경들의 긴장이 풀어지는데 턱과 혀 또한 중력에 의해서 쳐지면서 '기도'가 좁아지게 됩니다. 기도가 좁아지게 되면 목의 진동이 평소 깨어있을 때 보다 심해지는데 이렇게 좁아진 기도로 공기가 드나들면서 목젖, 편도, 혀가 빨려 들어가면서 진동이 일어나는 것이 바로 코골이고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자면서 코를 골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증'에 대해서 들어보셨을 겁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코골이 보다 더욱 심한 증상으로 기도가 막히면서 기도를 통해서 공기가 지나가지 못하면서 10초 이상 호흡 하지 못하는 것을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합니다. 이 증상은 심해지면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빠른 시일내 교정 혹은 치료를 해야 합니다.

 

코골이
코골이의 위험성

코골이가 위험한 이유

코골이는 통계적으로 한국 남성의 57%, 여성의 40%는 수면 중 필연적으로 코를 고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코골이는 함께 생활하는 타인을 위해서도 고쳐야 하는 증상이 맞지만 자신을 위해서라도 코골이가 심하다면 고치는 게 좋습니다.

코골이는 수면을 방해하여 자고 일어난 이후에도 개운하지 못하거나 지속적인 졸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심한 코골이는 수면 무호흡증으로 이어지는데 혈액 내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면서 기억력 저하, 두통 유발, 저산소증, 당뇨, 뇌졸중, 협심증과 같은 질화도 겪을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골이를 가볍게 여기는데 심해지면 큰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증상입니다. 그러면 코골이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코골이 안 하는 방법 X가지

1. 체중 감량 : 코골이 하는 분들 중 가장 많은 유형은 바로 비만입니다. 살로 인해 목과 턱 등 지방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면서 비만이 있는 분들이 많은 코골이 증상을 보이는데 비만, 코골이에 효과적인 운동 및 식사 조절로 인해 다이어트를 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코골이 예방법입니다.

 

2. 수면 자세 교정 : 자는 도중 천장을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중력으로 인해 기도가 눌러져 코를 골 확률이 높아집니다. 약간의 자세만 교정해도 코골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자세를 옆으로 눕거나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세를 교정하게 되면 기도가 너무 과하게 좁아지지 않게 되어 코골이를 줄여줍니다.

3. 양압기 사용 : 양압기는 수면 도중 기도로 공기를 넣어서 기도가 좁아지지 않게 도와주면 장치가 아래턱을 당겨서 기도 공간을 확보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면 중 장치에 예민하지 않으신 분들이 착용하시게 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양압기 사용
양압기 사용 I 출처 -MBC 나혼자 산다

4. 코골이 수술 :  코골이가 심해서 무호흡증까지 이어지는 분들은 수술을 통해서 치료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하지만 수술은 개인마다 증상, 수술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금연, 금주, 식습관 교정 : 잦은 흡연, 음주는 근육을 이완시키기 때문에 기도를 좁게 만들어서 코골이에 많은 영향을 주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코골이의 원천적인 원인인 비만을 유발하는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게 되면 코골이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렇게 코골이 증상, 위험한 이유,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코골이는 잦은 증상이긴 합니다만 심해지는 경우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방법으로 꼭 예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